상관 연구
다른 분야의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발달심리학의 연구에서도 일반적으로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여러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때로는 발달심리 특유의 목적에 따른 발달심리 특유의 방법을 적용하기도 한다. 앞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발달 연구의 주목적은 특정 단계에 있는 아동의 발달적 특징들을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이들 특징들이 연령에 따라 변화해가는 과정과 그 기제들을 밝히는 데 있다. 상관 연구는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의 상호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다. 아동의 tv 시청시간과 사회성 발달 수준 간의 관계, 어머니의 자녀양육방식과 아동의 공격적 행동 간의 관계, 사회경제적 계층과 인지발달 수준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은 상관 연구에 속한다. 상관 연구는 단순히 변인들 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따름이지 인과적 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관 연구를 통해 tv를 보는 시간이 길수록 아동의 사회성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면, 이를 tv 시청이 아동의 사회성을 낮추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tv 시청시간이 길어서 사회성이 낮아질 수도 있으나, 반대로 사회성이 낮기 때문에 tv 시청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관 연구는 변인 간의 양방적인 관계를 알려주기는 하지만, 일방적인 인간관계를 밝혀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실험 연구
실험 연구는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간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다. 앞에서 예를 든 아동의 tv 시청시간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인과적 관계는 실제로 아동에게 tv를 보는 시간량을 달리하여 시청시킨 뒤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실험 연구를 통해 밝혀볼 수 있다. tv 시청이 아동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반두라의 실험은 발달 분야 실험 연구의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 실험에서 서로 조건이 유사한 두 집단의 아동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는 일정기간 동안 공격적인 놀이가 담긴 내용의 tv를 보여주는 반면에 통제 집단에게는 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일정기간의 실험 처치가 끝난 후 공격적인 내용의 tv를 시청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이 통제집단의 아동들보다 놀이 장면에서 실제로 보다 많은 공격적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험 연구는 독립변인의 처치 조건을 다양화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인과관계를 밝혀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tv 내용을 공격적 행동이 보상받는 경우와 처벌받는 경우로 구분하거나, 공격적 행동이 담긴 tv 내용을 시청하는 시간을 여러 조건으로 나누어 보거나 주인공의 성별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tv 시청과 관련되는 제반 요인들이 아동의 공격적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검토해볼 수 있다. 실험 연구는 인간발달에 관여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보여주는 가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실험조건의 인위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노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친 사회적 행동을 촉진하는 훈련을 받은 집단의 아동들은 인위적인 실험장면에서는 다른 아이들을 돕거나 자신의 물건을 나누어 주는 등 높은 수준의 친사회적 행동 경향을 보이지만 그들의 일상생활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 연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위적인 실험실 실험 대신에 흔히 유치원, 학교, 가정, 양로원 등 피험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실험을 실시하는 현장실험 또는 자연적 실험이 실시되고 있다.
사례연구
사례 연구란 한두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의 일반적인 양상을 추론하는 연구를 의미한다. 피아제가 자신의 세 아이를 대상으로 한 관찰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뛰어난 인지발달이론을 유추해낸 경우처럼 발달심리에서 사례연구는 일찍부터 사용되어온 중요한 연구 유형이다. 소수의 피험자의 전 생애의 회고를 통해 인간의 삶의 발달적 변화과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하는 자서전적 기억 방법은 최근에 발달 분야에서 주목받는 사례연구의 새로운 형태이다. 사례 연구는 관찰, 실험, 면접 등 다양한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개인의 발달과정을 면밀히 분석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의 사례를 전체적인 발달과정에 일반화하는 데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피아제의 연구결과들 중 일부가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들에 의해 비판받고 있는 것은 사례연구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