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2. 11. 20. 21:39

발달 심리학의 자기 보고법 및 직접 관찰법

반응형

자기 보고 법

자기 보고는 자신의 생각, 태도, 관점 등을 스스로 평가하고 보고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각종 검사, 질문지 또는 면접이 자기 보고에서 사용된다. 자기 보고는 타인이 식별해내기 힘든 개인이 내재적 특성을 진단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경험 내용을 선택하거나 왜곡함으로써 자료의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특히 내적 성찰 능력이 나 언어능력에 한계가 있는 나이 어린 아동들에게는 적용하기 힘든 제한점이 있다. 어린 아동의 발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흔히 자녀에 대한 부모 보고를 대신 사용한다.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유아의 기질 연구는 대부분 부모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 아동으로부터 직접 자기 보고에 의한 자료를 수집하더라도 그 자료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같은 내용을 부모, 또래, 교사의 보고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도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동의 조망수용능력을 연구할 때 아동을 대상으로 한 면접에 의해 자기 보고 자료를 수집하는 한편, 또래 친구나 교사들과의 면접을 통해 그 아동에 대한 보고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 자료를 통합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 수준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면접에 의한 자기 보고는 구조화된 질문지에 의한 자기 보고에 비해 연구 대상의 생각이나 관점을 있는 그대로 보다 자유스럽게 드러나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피아제의 준임상적 면접 기법에서 볼 수 있듯이 대상의 응답에 따라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질문을 던져가는 방법은 고전적이지만 지금도 발달심리분야에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다. 최근 성격발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고 표집방법은 특히 흥미로운 자기 보고 법의 일종이다. 이 방법은 무작위로 특정 순간에 개인에게 무선호출기를 통해 신호를 보내고, 그 순간에 자신의 내면에 흘러가고 있는 생각을 말하게 하거나 기록하게 하는 기법이다. 때로 새로운 생각이 일어나면 피험자가 연구자에게 신호를 보내어 진술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보다 자연적인 생황에서 개인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밝힐 수 있으므로 생태학적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현장중심의 방법이다.

직접 관찰법

발달심리학의 많은 연구들이 대상의 행동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종래에는 관찰한 내용들을 자유기술식으로 기록하거나 미리 준비된 관찰대상 행동 목록 체크리스트에 해당 행동이 나타나면 체크해나가는 방법을 주로 사용해왔으나, 최근에는 VTR을 사용하여 관찰한 모든 행동을 녹화하고 뒤에 이를 분석하여 관찰대상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류, 기록하는 기법을 더욱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녹화기법은 자료를 보존하고 언제나 재분석할 수 있으므로 관찰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찰연구는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놓고 그 상황에서의 행동을 관찰하는 실험실적 관찰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 자신의 행동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피 관찰자가 의식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보다 합당하거나 기대되는 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높다. 실험실에서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부모들은 일상생활보다 실험실에서 자녀들에게 훨씬 더 자상하고 긍정적인 양상의 반응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관찰법을 사용하는 많은 연구들이 학교나 연구소에 설치되어 있는 관찰실에서의 행동을 피 관찰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일방경을 통해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실험실 관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피 관찰자들이 낯선 환경에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는 것만으로도 일상생활에서의 행동과 다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실험실적 관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일상의 장면에서 나타나는 행동 그대로를 관찰하는 자연적 관찰이다. 피아제가 자신의 집에서 자신의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관찰한 것이나,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아동이 놀이 장면에서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있는 그대로 녹음하고 이를 분석하여 아동의 일상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유아기 특유의  사고 양식을 밝혀낸 연구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