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형성 이론
애착은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를 뜻한다. 애착은 근본적으로 선택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서 극히 소수의 제한된 대상에 대해서 형성되며 애착이 형성된 대상에 대해서는 가까이 다가가고 싶고 근접해 있고 싶은 욕구를 갖게 된다. 발달심리학에서 애착이 연구자들의 큰 관심 대상이 되는 것은 출생 후 1년 이내에 영아와 어머니 또는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애착형성의 결과가 후에 발달하는 정서적 안정성과 대인관계의 중요한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발달 심리학 분야에서 애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지지해주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 되고 있다. 애착형성은 모든 영아의 공통적인 특성일 뿐 아니라 침팬지와 같은 고등동물에게서도 나타나는 특성이다. 이와 같이 보편적 특성인 애착이 형성되는 이유와 발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몇 가지 이론적 관점들이 제시되고 있다.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 애착은 영아가 빨고자 하는 구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대상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밀접한 관계이다. 따라서 영아에게 편안한 상태에서 젖을 먹여주고, 만족감을 주는 부모의 양육행동은 좋은 애착형성의 중요한 요건이 된다. 에릭슨도 영아의 수유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일은 영아기의 안정된 애착관계 형성뿐 아니라 성장한 후 아동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에 대해 느끼는 신뢰감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한다.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사회적 애착을 형성하는 영아의 능력은 전반적인 인지발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 영아는 우선 애착 대상과 다른 대상을 구별할 수 있는 지각적 변별력을 갖추어야 한다. 안정된 애착관계를 갖기 위해서는 애착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져도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대상 영속성도 획득되어 있어야 한다. 영아기 애착은 영아기 성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고, 상황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지시하는 내재적 작용 모델로서 그 기대를 사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방을 떠나자 소리 내어 울던 아기가 옆방에서 달래는 어머니의 음성을 듣고 울음을 그치는 것은, 어머니가 가까이 있으며 곧 다시 올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이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계속해서 음성만 들리고 어머니가 나타나지 않으면 영아는 자신의 내재적 작용 모델이 틀렸다는 것을 알고 곧 다시 울기 시작할 것이다. 애착형성과정의 한 양상인 영아의 낯가림이나 격리 불안도 내재적 작용 모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정상적인 애착 발달과정에서 애착이 보통 7-9개월 사이 대상 영속성이 획득되는 시기와 유사한 기간에 형성되는 것은 애착형성이 전반적인 인지발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동물행동학적 이론
보우 비의 동물행동학적 이론에서는 애착형성을 종의 보본과 생존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본능적 반응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 입장에서 이론가들은 영아는 미소, 울음, 매달리기와 같이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부모의 보살핌과 보호를 이끌어낼 수 있는 일련의 유발 자극을 생득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어머니는 이러한 유발 자극에 반응하도록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있다고 믿는다. 동물행동학적 관점에서 볼 때 애착형성과정에 있어서 영아는 단순히 보살핌을 받는 피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보살핌을 이끌어내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애착은 어머니와 영아 간의 상호적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