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조작기의 인지발달
약 2세에서 7세 사이의 입학 전 아동기를 피아제는 전조작기라 부른다. 피아제는 전 조작적 단계를 2-4세경의 전 개념적 사고 단계와 4-7세 사이의 직관적 사고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전 개념적 사고기는 내재적으로 형성된 표상을 유아가 여러 형태의 상징 또는 기호로 표현하는 기호적 기능이 인지발달의 주축을 이루는 시기이다. 직관적 사고기에 들어서면 여러 가지 개념들이 발달하나, 이 시기 특유의 직관적 사고의 한계가 있다.
기호적 기능
감각 운동기 끝 무렵에 유아가 심상을 형성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최초에 형성되는 심상은 대상의 모습, 동작 등에 대한 영상적인 표상이 주를 이루며, 대상의 속성을 언어적인 개념을 통해 의미적으로 표상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4세 이전의 유아에게 토끼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털이 하얗다. 눈이 빨갛다 등으로 모습을 설명하거나 토끼가 뛰는 모습을 흉내 낸다. 이러한 반응은 이들이 토끼에 대해 갖고 있는 심상을 근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단계의 유아들은 토끼는 동물의 한 종류로서 처럼 토끼를 개념적으로 규정하지는 못한다. 전 개념적 사고는 바로 이러한 이 시기 유아의 표상적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다. 전 개념기 유아는 자신이 내재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표상을 여러 형태의 상징으로 표현하게 된다. 피아제는 이러한 표상의 표출 형태를 기호적 기능이라 부른다. 상징놀이 또는 가상 놀이, 그림, 언어는 이 시기 유아의 대표적인 기호적 기능이다.
가상 놀이
전조작기 기호적 기능 중에서 가상 놀이는 유아기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가상 놀이란 가상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으로 상징화하는 놀이이다. 예를 들어 나무토막으로 총놀이를 하는 유아는 실제로 나무토막을 가지고 논다기보다는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표상을 나무토막이라는 상징물을 통해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가상 놀이를 통해 유아는 대상물, 사람, 사태 그리고 상황의 속성을 재현할 수 있다. 소꿉놀이, 기차놀이, 병원놀이, 학교놀이 등 입학 전 아동들의 대부분의 놀이는 가상 놀이에 속한다. 가상 놀이에는 몇 가지 특징과 중요성이 있다. 첫째 가상 놀이는 대체로 만 1세 이후부터 6세 사이에 나타나며, 6세 이후에는 사라지는 상징놀이 형태이다. 1-3세 사이에 가장 흔하며, 이 시기 인지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상 놀이는 모든 문화권에서 이 연령의 아이들이 자연적으로 갖게 되는 공통적인 특성이다. 따라서 가상 놀이는 학습된 것이라기보다는 생물학적으로 진화된 인지적 활동 중의 하나인 것 같다. 둘째, 가상 놀이는 유아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르는 가치 있는 인지적 수단이다. 대부분의 전조작기 유아들은 나무토막이 총이 아니라는 것, 즉 그들이 사용하는 상징물과 살제 대상의 차이를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대상물을 내재적 표상에 의해 변용하고 확장하는 것은 성인들의 예술활동에 유사한 은유적 기능이다. 셋째, 가상 놀이는 유아의 사회성과 사회인지적 능력의 발달을 촉진한다. 가상 놀이 중에서도 두 명 이상의 유아들이 일정한 역할을 하는 사회극 놀이는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며, 사회적 역할과 상호작용을 연습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인형놀이를 하면서 아기는 아파서 슬퍼요, 그래서 울어요라고 말하는 유아는 가상 놀이를 통해 슬픔과 기쁨 등의 인간 내면의 마음과 이러한 마음이 어떻게 생기며 어떻게 행동으로 연결되는가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배우고 있는 것이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는 가상 놀이를 통해 점차 구체적인 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으로 그 속성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숟가락과 아주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밥 먹는 흉내를 내는 아이가 손으로 밥 먹는 흉내를 내는 것과 같다. 또한 유아의 가상 놀이는 점차 사회화된다. 아기는 젖병으로 우유를 먹고 어른은 컵으로 우유를 먹는 것을 구분하는 것처럼 놀이 속 각자의 역할들은 점차 사회적인 것으로 표준화되고 인습화된다. 가상 놀이의 범위 또한 확대되어 혼자 하는 가상 놀이로부터 사회극 놀이로 바뀌어간다. 또한 첨차 여러 명의 아이들이 함께 참여하며, 각자에게 부여하는 역할도 구분되고 명료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