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HO's space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신체 및 운동 기능의 발달

신체 및 운동 기능 발달의 원리 아동의 신체 및 운동 기능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신체와 운동 기능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알아보고, 신장과 체중, 뇌와 신경계 등 각 신체영역의 발달 양상을 검토할 것이다. 나아가 영아가 갖는 각종 생득적 반사 기능과 영아 후기부터 크게 발달하는 이동 운동능력 및 협응 기능의 발달과정을 살펴본 후 아동기 운동 기능 발달이 갖는 심리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영아기 신체기능과 운동기능의 발달은 두 가지 원리에 따라 순서대로 일어난다. 첫째는, 머리 쪽에서 아래쪽으로 발달하는 원리이다. 신생아의 머리는 전체 몸에 비해서 매우 크지만 성장함에 따라 그 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것은 이 원리에 따라 머리와 목이 먼저 발달하고 몸통과 다리가 뒤에 발달하기 때문이다. 운동..

2022. 11. 23. 17:11
카테고리 없음

태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의 영향상태 태아는 생리적으로 모체와 밀착되어 있으므로 모체를 통해 들어오는 각종 바람직하지 못한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로 인해 신체 및 정신적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태내 발달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태내 환경조건들을 유형별로 살펴보자. 수정에서 출산 시까지 태아는 성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전적으로 모체가 섭취하는 영양에 의존하므로, 모의 영양상태는 태아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내 환경이 된다. 모체의 영양이 부족하면 유산과 사산의 가능성이 높고, 발육이 늦으며, 신체적으로 기형이 될 확률이 높다. 특히 임신 초기의 영양결핍은 뇌와 신경계의 발달에 지장을 초래한다. 우간다 등 모의 영양결핍이 심각한 문제가 되는 나라에서 보고된 사례를 보면 초기 극심한 영양결핍으로 사산된 ..

2022. 11. 23. 09:27
카테고리 없음

지능과 성격발달의 유전적 기저

지능 연구 지능이 인간의 발달과 적응에 차지하는 중요성으로 인해 지능발달에 있어서 유전과 환경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관한 여러 형태의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지능발달에 미치는 유전적 기여도를 밝히기 위해 일찍부터 이루어져 온 대표적인 두 유형의 연구로 혈연관계 연구와 양자 연구를 들 수 있다.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두 개인 간 지능의 상관이 높게 나타난다면 이는 지능이 유전적 소인에 의해 결정되는 확률이 높다는 사실이다. 혈연관계의 멀고 가까움에 따른 지능 간 상관계수의 차이는 지능이 유전적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양자 연구 또한 지적발달에 있어서의 유전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네소타 양자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출생 후 1년 이내에 양자로 간 아이의 지능을 18세에..

2022. 11. 22. 19:54
카테고리 없음

발달의 생물학적 기저

수정과 세포분열 인간의 발달은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는 수정의 순간에서부터 시작된다. 수정된 수정체가 세포분열을 시작할 때 이미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수정의 순간에 인간 생명체는 성의 구분, 유전적 특성과 정상성 여부 등 전 생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발달적 특성을 갖게 된다. 이들 특성들이 수정 시에 어떠한 생물학적 기제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아는 것은 인간발달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수정 시에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수정된 난자, 즉 수정체가 된다. 수정체의 세포가 세포분열에 의해 빠른 속도록 그 수를 늘려감으로써 발달이 시작된다. 난자와 정자가 결합된 수정체는 그 구조와 기능이 상이한 성세포와 체세포의 두 유형의 세포로 구성된다. 성세포는 생식기를 형성하게 되며, ..

2022. 11. 22. 06:17
카테고리 없음

발달심리학의 연구설계

횡단적 설계 발달 연구는 연령에 따른 변화과정을 진단하려는 목적을 갖는 점에서 다른 심리학의 다른 분야의 연구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발달 연구는 그 특유의 연구설계를 필요로 한다. 횡단적 설계는 여러 연령집단을 동시에 표집 하여 이들 집단으로부터 얻은 자료의 연령집단 간 차이를 발달적 변화의 지표로 간주하는 연구설계이다. 예를 들어,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 3,6,9,12세 집단의 아동을 각각 50명씩 표집 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나 면접에 의해 자기 보고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얻은 각 연령집단 간 자아존중감의 정도 차이에 의해 자아존중감의 발달과정을 유추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발달 연구가 횡단적 설계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나 엄밀하게 말..

2022. 11. 22. 00:59
카테고리 없음

발달 심리학의 자기 보고법 및 직접 관찰법

자기 보고 법 자기 보고는 자신의 생각, 태도, 관점 등을 스스로 평가하고 보고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각종 검사, 질문지 또는 면접이 자기 보고에서 사용된다. 자기 보고는 타인이 식별해내기 힘든 개인이 내재적 특성을 진단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경험 내용을 선택하거나 왜곡함으로써 자료의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특히 내적 성찰 능력이 나 언어능력에 한계가 있는 나이 어린 아동들에게는 적용하기 힘든 제한점이 있다. 어린 아동의 발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흔히 자녀에 대한 부모 보고를 대신 사용한다.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유아의 기질 연구는 대부분 부모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 아동으로부터 직접 자기 보..

2022. 11. 20. 21:39
  • «
  • 1
  • ···
  • 5
  • 6
  • 7
  • 8
  • 9
  • »
반응형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WAHO's space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